제14회 전국청소년논술토론한마당

주메뉴


논술토론한마당소개

홈 > 논술토론 한마당 소개 > 14회 주제제안문

14회 주제제안문. 14회 한마당 주제선정에 대한 안내문입니다.

주제제안문

청소년 돈을 말하다

인간의 역사가 시작된 후 사람들은 어느 시대에서나 가르치고 배우는 일을 해왔다. 교육이란 인간이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바람직한 규범, 가치‧태도 및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이다. 또한 교육은 개인의 정체성 완성과 자아실현에 기여함과 동시에 인재를 양성하고 배출함으로써 인간문화의 진보에 기여해왔다.

근대사회는 학교 교육을 통해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기른다. 근대 학교 교육은 근대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장치로써 제도화 되었다. 근대 사회는 산업화 과정에 적합한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학교 교육은 산업사회에 필요한 인력을 선발하고 배치하는 기능도 수행하였다. 하지만 근대 학교 교육은 자본주의 사회의 불평등구조를 재생산하고 이를 정당화하기 위한 일종의 사회 통제 기제이기도 했다. 기득권을 가진 자본가의 억압과 통제에 저항하지 않는 노동력을 기르는 역할을 학교에서 수행한 측면이 있는 것이다. 또한 근대 학교 교육은 사회적 지위 획득 및 유지의 합법적 수단이 되어 학력 경쟁을 가져왔고 이로 인한 다양한 사회 문제를 일으켰다.

현재 한국의 교육은 과중한 사교육비 비중, 입시 과열 현상, 교실 붕괴, 대학생들의 학력 저하,교육 이민 등의 문제들을 안고 있다. 한국 유‧초‧중‧고등학교 교육의 방향을 실질적으로 결정짓는 가장 강력하고 직접적인 요인은 ‘대학 입시’이다. 사실상 한국의 학교 교육은 궁극적으로 대학 입시를 목표로 하고 있고, 학생들을 비롯하여 교사와 학부모들까지 거의 모든 이들이 교육에 관해서는 대학 입시에 전적으로 매달려 있다. 어떻게 보면, 한국의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교육은 대학 입시를 위해 이루어지는 것 같은 모양새다. 입시가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지배하는 구조는 교육의 본질을 흐리게 한다.

한국은 세계 최고의 교육열을 자랑한다. 자녀 교육을 위해
경제적 어려움을 감수하면서 좋은 학군으로 이사를
하거나, 조기 유학을 보내기도 한다. 이러한
교육열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본질에 대한 성찰이나
그에 따른 실천의 정도는 미천한 수준이 아닐까?
왜 많은 것들을 포기하면서까지 교육에 매달리는
것일까? 이와 같은 경주를 끊임없이 지속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크게 왜곡되어 있는 한국 교육을 본래 자리로
돌려놓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보자.
무한경쟁 속에 심화되고 있는 교육 불평등,
교육의 공공성과 다양성 등에 대한 우리들의
목소리를 내보자. “교육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우고 싶은가? 교육을 통해 우리는 행복을
느끼는가? 새로운 교육을 상상해보자!”


600-110 부산시 중구 영주동 산 10-16번지 / 문의전화:051-790-7411 / 팩스:051-790-7410
COPYRIGHT (C) 2014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ALL RIGHTS RESERVED.